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순차큐
- 알고리즘
- IAR
- 자료구조
- 단순연결리스트
- 큐
- 개발
- 임베디드
- 개발환경
- FW
- 펌웨어개발자
- 연결큐
- C
- 펌웨어
- stm32cubemx
- Embedded
- 시스템스택
- Firmware
- c언어
- 연결리스트
- 학습일지
- 개발자
- Queue
- 원형큐
- 연결자료구조
- 원형연결리스트
- 다항식
- 역순문자열
- 이중연결리스트
- 스택
- Today
- Total
목록Firmware (2)
카누누카

나는 지금까지 stm32CubeIDE를 통해 펌웨어를 학습했다. 하지만, 회사에서 IAR을 사용하기 때문에, IAR 환경 세팅과 센서 제어를 정리해보려고 한다. 1) 칩셋 설정 Stm32CubeMX 2) 컴파일러 IAR Embedded Workbench 다행히 Stm32cubeIDE의 칩 셋 설정이 CubeMX의 칩셋 설정이랑 같다. IAR 초기 개발환경 세팅은 유튜버 Baram님의 IAR 개발환경 설정 영상을 보고 정리 할 예정이다. 1. new workspace 2. project -> Create New Project 3. project setting(project->option) 4. prcessor variant -> Device -> 보유한 보드의 칩 5. Use CMSIS -> 자세한 설명은..

나는 현재 막 신입으로 들어온 펌웨어 개발자이다. 아직 일이 부여되지 않았기 때문에, 펌웨어 분야에 필요한 학습들을 하려고 한다. - 펌웨어 개발자가 되기 위한 학습순서 1. C/C++ -> 보통의 임베디드 분야에서는 C/C++ 두 개면 충분하다. 그 중 C가 훨씬 비중이 크다. 2. 아두이노, 라즈베리파이, stm, avr... 등의 MCU 제어 -> 자신이 혹시 아직 임베디드 분야에 대해 겪어보지 못했지만 흥미가 있다면, 아두이노 보드를 통해 센서를 제어해보자! -> 그 후, 자신의 아이디어가 담긴 프로젝트가 가장 좋겠지만, 배포된 프로젝트를 따라해보는 것만으로도 큰 도움이 된다. -> 아두이노를 통해 임베디드 분야에 대해 흥미가 생겼다면, 라즈베리파이보드를 통해 linux환경에서의 MCU를 다뤄보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