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c언어
- 원형연결리스트
- 시스템스택
- 이중연결리스트
- 스택
- 펌웨어개발자
- 역순문자열
- 연결자료구조
- 다항식
- 펌웨어
- C
- FW
- Queue
- Embedded
- 개발
- 임베디드
- 알고리즘
- 큐
- 자료구조
- Firmware
- 단순연결리스트
- 개발자
- 개발환경
- 연결큐
- stm32cubemx
- 순차큐
- IAR
- 연결리스트
- 원형큐
- 학습일지
- Today
- Total
목록알고리즘 (2)
카누누카

1. 스택의 개념과 구조 스택(Stack) 자료구조는 접시에 음식을 쌓아올리듯 데이터를 차곡차곡 쌓아올린 형태로 자료를 구성한다. 스택은 같은 구조와 같은 크기의 데이터를 정해진 방향으로만 쌓을 수 있고, top으로 정한 한 곳으로만 접근하도록 제한되어 있다. 따라서 top을 통해 들어온 데이터가 일정한 방향, 즉 아래(Bottom)에서 위로 차곡차곡 쌓이게 된다. - top 스택에서 유일하게 액세스가 허용된 지점으로 삽입과 삭제가 일어나는 위치이며 현재 스택의 가장 위에 있는 데이터 위치가 된다. 새로 삽입되는 데이터가 스택에서 가장 위에 있는 데이터가 된다. 스택에서 자료를 삭제할 때 top을 통해서만 가능하기 때문에 top에 있는 데이터, 즉 가장 위에 있는 데이터가 삭제되고 삽입된다. 이러한 스택..

1. 단순 연결 리스트를 이용한 다항식 표현 - 다항식에 있는 항 하나는 노드 하나로 표현한다. - 각 항마다 계수와 지수를 저장해야하므로 노드의 데이터 필드는 계수를 저장하는 coef와 지수를 저장하는 expo 필드로 구성하고, 링크 필드는 다음 항을 연결하는 포인터로 구성한다. 1 2 3 4 5 typedef struct Node { float coef; int expo; struct Node *link; }; cs A(x) = 4x^3 + 3x^2 + 5x B(x) = 3x^4 + x^3 + 2x + 1 2. 다항식 연결 자료구조의 항 삽입 알고리즘 - 다항식에 항을 추가하려면 연결 리스트의 마지막 노드 다음에 새로운 노드를 추가하는 알고리즘으로 정의할 수 있다. 1 2 3 4 5 6 7 8 9 1..